이소선합창단은 2023년 11월 20일 월요일, 용산의 대통령집무실 앞 도로에서 스텔라데이지호 침몰 참사 미수습자 가족과 함께 하는 고함 예배에 함께 했다. 스텔라데이지호는 2017년 3월에 남대서양에서 침몰했다. 살아가면서 사고를 피할 수는 없다. 그러나 그 사고가 무리한 배의 개조나 노후화된 배를 제대로 수리하지 않은 탓에 이루어진 사고가 되면 사고를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. 또 침몰 뒤의 수색과 같은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고는 유가족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가 된다. 그러면 산 자의 삶마저 미수습된 죽음과 함께 죽음이 되고 만다. 국가의 미진한 대응은 산 자들마저 죽음에 가둔다.
기억이 때로 심해 깊이 내려가 그곳의 죽음을 건져올리는 심해 수색의 첫걸음이 된다. 때문에 기억이 지워지면 바다 깊은 곳에 가라 앉은 죽음은 영영 지상으로 떠올라 가족의 곁으로 돌아갈 수 있는 부력을 가질 수 없게 된다. 그 끈을 놓지 않겠다며 기억의 시간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모였고 이소선합창단은 노래로 그 사람들과 연대했다.
두 곡의 노래를 불렀다. 첫 곡은 <솔아 푸르른 솔아> 였다. 노래는 “창살 아래 네가 묶인 곳 살아서 만나리라” 했다. 노래는 어떤 국민의 죽음이 남대서양의 바다밑을 떠돌 때 살아있는 자들의 삶 또한 마치 감옥에 갇히듯 죽음에 갇힌다고 알려준다. 심해 수색을 통하여 유해나 유품을 찾을 때, 아니 최소한 해야할 노력을 다 했다는 것을 국가가 보여줄 때 죽음도 살아 돌아올 수 있으며 산 자들을 가둔 삶의 감옥도 비로소 그 창살을 지운다.
두 번째 곡은 <잘가오 그대> 였다. 죽은 자들이 산 이 땅은 빛이 없는 어둠의 땅이다. 이 땅에 빛이 있었다면 심해의 그 깊은 곳으로 가라 앉은 죽음도 국가가 내린 빛의 끈을 잡고 지상으로 올라올 수 있었을 것이다. 노래는 죽은 자들을 보내면서 “이 어둠은 오래지 않으리”라 위로한다. 참사를 잊지 않는 기억과 나라다운 나라를 요구하는 싸움이 그 어둠을 걷는 첫걸음이 된다.
추운 날씨였다. 체온이 더욱 필요한 날이기도 했다. 사람들이 많이 모일수록 체온은 높아진다. 합창단은 그 인원으로 죽음이 된 삶을 견디며 싸워가고 있는 유가족들에게 체온을 보탰다. 이곳에선 기억 또한 체온이었다. 잊지 않고 기억한다는 것은 살아있는 자들이 죽은 자들에게 나눌 수 있는 유일한 체온일지도 모른다. 기억과 체온을 실은 두 곡의 노래가 같은 마음을 나누는 사람들과 함께 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