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년 02월 02일2023년 02월 02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투사처럼 애도해야할 때 — 권상진의 시 「애도」 시인 권상진의 시 「애도」는 대패질과 목재로 다시 태어나는 나무 이야기로 시작된다. 대패로 나무를 깎아 목재를 만드는 일은 권상진에게 있어 나무의 혼을 불러내는 […]
2022년 12월 23일2022년 12월 23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시 읽기의 즐거움 — 텍스트로 이루어진 나 대개 문학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하는 문학의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다. 보통은 그것을 문학 작품이라고 부른다. 소설가가 소설가가 쓴 소설로, 시인이 시인이 쓴 시로 […]
2022년 12월 14일2022년 12월 23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시와 일상의 차이 — 강혜빈의 시 「녹음」 시인 강혜빈은 그의 시 「녹음」에서 이렇게 말한다. 땀 흘리는 두 사람이마스크를 반만 벗고입 맞추는 장면을,나무는 기록한다떨며, 떨며 자신의 잎 위에—강혜빈, 「녹음」 부분 […]
2022년 10월 08일2022년 10월 08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시가 무소유마저 가지지 못한 세상 사람들에게 가 닿을 때 — 백무산의 시 「무무소유」 때로 어떤 말 하나가 사람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며 널리 알려질 때가 있다. 무소유라는 말도 그렇다. 겉으로만 보면 그것은 가진 것이 없다는 뜻이다. […]
2022년 10월 07일2022년 10월 07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시는 죽을 때 두 가지를 유념하게 했다 — 유계영의 시 「절반 정도 동물인 것, 절반 정도 사물인 것」 그것이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죽은 자의 의식이 있다고 해도 그것을 들여다보기는 어렵다. 있어도 죽은 자는 더 이상 그 의식을 전할 수가 […]
2022년 10월 04일2022년 10월 06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시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에 대하여 — 유계영의 시 「시」 시란 무엇일까. 그 대답을 시인의 시를 통해 듣게 될 때가 있다. 시인 유계영의 시 「시」도 그 대답이 될 수 있는 시이다. 어떤 […]
2022년 10월 02일2022년 10월 06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영혼의 실체 — 유계영의 시 「좋거나 싫은 것으로 가득한 생활」 우리의 영혼은 도대체 어떤 일을 하는 것일까. 가령 시는 몸이 쓰는 것일까, 아니면 영혼이 쓰는 것일까. 얼핏 생각하면 시는 영혼의 산물일 듯 […]
2022년 09월 19일2022년 09월 19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시도 분리 독립할 수 있다 — 이영주의 시 「봄빛은 거미처럼」 시인 이영주는 그의 시 「봄빛은 거미처럼」에서 이렇게 말한다. 집은 무덤이다—이영주, 「봄빛은 거미처럼」 부분 이때의 집은 “거미의 집,” 즉 거미줄을 말함이다. 시인이 ‘그물’이라 […]
2022년 09월 10일2022년 09월 10일글의 세상, 시의 나라 세상을 시로 물들이는 시 — 오규원의 시 「돌멩이와 편지」 누군가 내게 시인 오규원의 가장 큰 매력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그의 시가 시집 속에 머물질 않고, 그의 시를 읽고 나면 마치 읽는 […]